항암제의 종류 Anticancer chemotherapy (세포독성항암제, 표적항암제, 면역항암제)

2023. 7. 4. 13:55Pharmaceutical

728x90

 

 

 

1. 항암제의 종류 (Anticancer chemotherapy)

 

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는 아래와 같이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

 

1) 세포독성 항암제 (cytotoxic agents)

2) 표적 항암제 (targeted agents)

3) 호르몬제제 (hormonal agents)

4) 면역 관문 억제제 (immune checkpoint inhibigtor, immunotherapy)

 

실제 임상에서는 이러한 약제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데, 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- 작용 기전이 서로 다른 약제

- 병용 사용 하였을 때, 상승효과를 보이는 약제

- 내성의 기전이 서로 다른 약제, 혹은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약제

- 주요 부작용 양상이 서로 다른 약제

 

2. 세포독성 항암제의 종류 (Cytotoxic chemotherapy)

 

1) 알킬화제 (Allkylating agent)

2) 백금제제 (Platinum-based drug)

3) 대사 억제제 (Antimetablite)

4) 안쓰라사이클린제제 (Anthracycline)

5) 미세소관 억제제 (Microtubule inhibitor)

6)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 (Topoisomerase inhibitor)

 

대표적인 세포독성 항암제

시스플라틴 (Cisplatin) 동아ST 씨스푸란, 한국유나이티드 유니스틴 등
독소비신 (Doxorubicin) 박스터 케릭스, 동아ST 에이디엠, 한독테바 독소루빈주사 등
파클리탁셀 (Paclitaxel) 화이자 안자탁스, 산도스 파크리탁셀, 한미 팍셀, JW중외 네오탁스 등
메토트렉세이트 (Methotrexate) 화이자 메토트렉세이트, 유한 메토트렉세이트, JW중외 엠티엑스 등
시클로포스파미드 (Cyclophosphamide) JW중외 알키록산, 부광 엔독산 (퇴장방지)

 

3. 흔히 사용되는 세포독성 항암제 및 표적 항암제 (Cytotoxic chemotherapy and Targeted chemotherapy drugs)

 

세포독성 항암제는 암 세포를 직접적으로 공격하여 파괴하는 작용을 가지고 있습니다. 이러한 약물은 암 세포와 정상 세포 모두에 영향을 미치지만, 암 세포에 더 큰 영향을 주는 것을 목표로 합니다.

표적 항암제는 특정한 단백질이나 신호 경로를 표적으로 선택하여 암 세포를 공격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러한 약물은 암 세포에서 과도하게 발현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작용하는 표적 항원을 공격하거나, 암 세포의 특정 신호 경로를 억제하여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파괴합니다. 표적 항암제는 종양의 특정한 특성을 이용하여 암 세포에 대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, 정상 세포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독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
 

 

대표적인 표적 항암제

 

1) 트라스트주맙 (로슈 허셉틴, Trastuzumab): HER2 양성 유방암에서 사용되는 표적 항암제로, HER2 양성 종양을 표적으로 공격하여 성장을 억제합니다.

  - 삼성바이오에피스 삼페넷, 로슈 캐싸일라, 셀트리온 허쥬마, 다이이찌산쿄 엔허투 


2) 리툭시맙 (로슈 맙테라, Rituximab): CD20 양성 비호지킨 림프종에서 사용되는 표적 항암제로, CD20 양성 B-림프구를 표적으로 공격하여 암 세포를 제거합니다.

 - 셀트리온 트룩시마


3) 이브루티닙 (얀센 임브루비카, Ibrutinib): B-세포 림프종,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 사용되는 표적 항암제로, B-림프구의 신호 경로를 억제하여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.


4) 세툭시맙 (머크, 얼비툭스 Cetuximab): 위암, 피부암 등에서 사용되는 표적 항암제로, EGFR (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)을 표적으로 공격하여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.



4. 면역치료제 (Immunotherapy)

 

1) 면역 치료제의 작용기전

 

최근 널리 사용되는 면역치료제는 T림프구 기능 및 면역관문 (immune check-point)과 관련 된 것 입니다.

종양세포가 성장 및 전이를 위해서 면역 체계의 감시를 회피 (immune evasion)하는 과정을 극복하고 면역 체계의 종양 인지 및 파괴능력을 회복, 강화시키는 작용을 합니다.

 

2) 면역 치료제의 종류

 

- Cytotoxic T-lymphocyte associated antigen-4 (CTLA-4) 억제제 : 이필리무맙 (여보이, Ipilimumab)이 전이성 악성 흑색종에 최초 승인

 

- Programmed cell death-1 (PD-1) 억제제와 Programmed cell death ligand-1 (PD-L1) 억제제 

  * PD-1 억제제 : 니볼루맙 (옵디보, Nivolumab), 펨브롤리주맙 (키트루다, Pembrolizumab)

  * PD-L1 억제제 : 아벨루맙 (바벤시오, Avelumab), 아테졸리주맙 (테센트릭, Atezolizumab)

 

 

728x90